티스토리 뷰
디딤씨앗통장은 취약계층 아동의 사회진출 시 초기비용을 지원하는 아동발달지원계좌입니다. 학자금, 취업, 창업, 주거마련 등의 용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자격이 된다면 미래를 위해 꼭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에서는 디딤씨앗통장이 무엇인지 그리고 신청방법과 지원내용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디딤씨앗통장이란?
취약계층 아동이 사회진출을 할 때 학자금, 취업, 주거마련 등 자립을 위한 자산형성이 필요하여 07년부터 디딤씨앗통장 즉 아동발달지원계좌가 추진되었습니다. 빈곤 대물림 방지하고 건전한 사회인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아동(보호자, 후원자)이 매월 50만 원 이내 금액을 적립하면 정부 지자체에서 아동적립금의 2배, 최대 10만 원 적립해 주는데요. 아동이 보호자 및 후원자의 후원을 통하여 적립하는 '디딤씨앗 적립예금'과 정부(지자체)에서 적립하는 '디딤씨앗 국공채 투자신탁'의 2개의 계좌로 나누어져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아동적립금 | 정부지원금 |
---|---|---|
상품명 | 디딤씨앗 적립예금 | 디딤씨앗 국공채 투자신탁 |
저축대상 | 아동(후원자) | 정부매칭금 |
통장명의 | 시, 군, 구명(보호아동 이름 아님) | 시, 군, 구(통장 없음) |
적립금액 | 월 1000원 부터 50만원 이하 | 월 1000원 부터 5만원 이하 아동 적립금의 200% 지원 (월 10만워 이내) |
거래제한 | 1아동 1계좌 | |
이자지급 | 만18세 만기일까지 잔여기간에 따라 연3.45% ~ 연4.05% 적용 |
목표수익률은 매 적립의 국고채 1년금리 + 0.6% 신탁보수는 총 0.3% |
디딤씨앗통장 지원대상
디딤씨앗통장은 아래 유형에 해당하는 경우 지원 가능합니다.
● 보호대상아동 : 만 18세 미만의 아동복지시설 즉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에서 생활했던 보호아동과 가정위탁 보호아동, 장애인생활시설 아동, 소년소녀가정 아동을 지원합니다.
●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 : 중위소득 40% 이하의 수급가구 가구의 만 12세부터 만 17세까지 아동 중 선정하여 만 18세 미만까지 지원합니다.
● 이미 가입 아동 중 가정복귀, 탈수급가구 아동 : 시설 보호아동이 도중 가정으로 복귀하는 경우에도 계속 지원합니다. 또한 기초생활수급가구 아동이 도중 중위소득 40%를 초과해도 계속 지원합니다.
디딤씨앗통장 신청방법
위 지원대상에 해당된다면 복지로 사이트에서 바로 신청하시기 바랍니다.
* 서울시 '희망플러스', 서울시 '꿈나래 통장'은 비슷한 유형의 정부 지자체 지원사업이어서 중복이 불가능하지만 '희망키움통장'은 중복 지원이 가능합니다.
아동(보호자)의 신청 또는 평소 지자체 시설아동 담당자의 명단 관리를 통해 가입대상자를 선정하여 확정하고, 지자체에서 가입서류를 준비하여 위탁금융기관에(신한은행)에 보내면 금융기관에서 통장을 2개 발급합니다.
지자체 담당자(관리차원)와 지원 대상 아동은 신한은행 앱을 통해 가입을 하여 계좌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담당자는 대상 아동에게 디딤씨앗통장에 상시 입금할 수 있도록 안내해 줍니다.
디딤씨앗통장 지원내용
지원 아동은 가입 시부터 만 18세까지 지원을 받습니다. 아동이 후원자 또는 보호자의 도움으로 월 5만 원 내 범위로 적립 시에 국가(지자체)가 최대 두 배인 최대 월 10만 원 내에서 지원해 줍니다.
* 최대 적립 가능금액은 50만 원이고, 월 최대 지원금은 10만 원입니다.
적립금은 만 18세가 만기이며, 이후 학자금, 기술자격 및 취업훈련비용, 창업지원금, 주거마련 등 자립을 위한 용도로 사용 가능합니다.
만 24세까지 학자금, 기술자격취득, 주거마련 등 자립사용을 하지 않은 경우, 만 24세에 사용 용도 제한 없이 적립금 및 정부 지원금을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적립금 세부 사용 용도는 아래와 같습니다.

이상 디딤씨앗통장 아동발달지원계좌에 대해 간단하게 알아봤습니다. 정부 지원제도가 시설 아동에게 큰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아동의 밝은 미래를 응원합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파일을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복지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기도 청년기본소득 신청과 소급신청 (23년4분기) (0) | 2023.11.04 |
---|---|
에너지 캐시백 신청하고 전기요금 할인받기 (주택용) (0) | 2023.10.31 |
국민체력100 체력인증센터 예약방법 및 인센티브 쉽게받기 (0) | 2023.10.12 |
소상공인 정책자금 대출 지원대상, 신청방법 (마감 임박) (0) | 2023.10.09 |
안산 대학생 반값 등록금 지원 대상과 신청방법 알아보기 (0) | 2023.10.05 |